“레이저·고주파 치료 후 왜 비립종이 더 생길까? 국내외 근거로 치료의 역설을 풀어드립니다.”
🪞치료 받았는데, 왜 더 생기는가
“레이저 한두 번 했더니 좁쌀이 줄어들 줄 알았는데, 오히려 더 많아졌어요.”
주변에서 이런 얘기를 나는 여러 번 들었다.
사람들은 치료 → 개선이라는 선형 그래프를 기대한다.
그러나 현실은, 치료 → 일시적 개선 → 재발 → 더 넓어진 병변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.
“왜 치료가 오히려 비립종을 키우는 걸까?”
이 글은 그 질문을 따라간다.
💬 후기에서 겹쳐 본 나의 고민
나는 직접 시술을 받은 적은 없다.
하지만 주변의 후기를 듣는 순간, 내 마음속에도 같은 불안이 겹쳐졌다.
“효과가 있다”는 짧은 기쁨,
“다시 올라왔다”는 실망,
그리고 그 사이에서 늘 흔들리는 선택의 순간.
“내가 병원에 누운다면, 나는 어느 쪽 이야기가 될까?”
🔬 시술의 의도와 실제 작용 구조
레이저, 고주파, 플라즈마 같은 시술들은 병변 조직을 없애거나 재생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.
표피·진피에 **미세한 화상(microdamage)**을 내고, 그 회복을 통해 새로운 피부를 얻도록 설계된 것이다.
문제는, 그 과정이 완전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.
📑 의학적 증거: 치료 이후 비립종 유발 사례들
- Pneumatic injector 치료 후
흉터 개선을 위해 압력 자극을 준 부위에 secondary milia가 생겼다는 국내 보고 (김정연 외, 대한피부과학회지, 2004). - 레이저 리서페이싱
Mayo Clinic에 따르면, 치료 후 두꺼운 연고·크림·패치로 덮으면 작은 흰 돌기(milia)가 흔히 생길 수 있음. - Er:YAG 레이저 후 milia en plaque 재발
좋은 초기 효과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에서 작은 milia가 재발된 사례 보고 (PubMed). - Medscape / eMedicine
화상·외상·레이저 시술 후 secondary milia 발생 가능성을 명확히 언급.
❓Q&A: 치료 후 왜 비립종이 생기나요?
Q. 비립종 치료 후 더 심해질 수 있나요?
A. 네. 치료 과정에서 생긴 미세한 화상과 불완전한 치유, 치료 후 사용하는 연고·보호제의 밀폐 효과가 겹치면서 secondary milia가 생길 수 있습니다.
Q.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?
A. 시술 전후 관리가 핵심입니다.
- 두꺼운 유분 크림보다는 산도 안정에 도움 되는 약산성 케어
- 과도한 마찰·스크럽 피하기
- 자외선 차단은 철저히, 보습은 가볍게
이 기본 원칙이 재발을 줄입니다.
🧩 왜 치료 후 비립종이 더 심해지는가 – 메커니즘 분석
- 열 손상과 상피 구조 파괴
치료 후 회복이 불완전하면, 모공 입구나 basement membrane에 미세한 틈이 남는다. - 밀폐 환경
치료 직후 두꺼운 크림·연고·패치가 덮이면, 노폐물·유분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힌다. - 반복 치료의 누적 손상
레이저·고주파를 여러 번 할수록 피부 자정 능력은 떨어진다. - 부적절한 사후관리
치료 후 곧바로 자극적 화장품·두꺼운 보습제를 사용하면 재발률이 높아진다.
📌 치료 고민자를 위한 체크리스트
- 이 시술이 내 비립종 유형·깊이·크기에 맞는가?
- 한 번으로 충분한가, 반복이 필요한가?
- 사후 관리(보습·자극 회피·pH 회복 계획)를 미리 알고 있는가?
- 비용 대비 재발 가능성을 감당할 수 있는가?
🌱 대안적 치료와 관리 균형
- 국소 압출(extraction)
멸균된 기구로 의사가 직접 제거하는 방식 → 가장 보존적. - 레이저·고주파 시술
불가피하다면 출력·빈도 최소화 + 사후 약산성 루틴 병행. - 루틴 개선
무엇보다 세안과 보습 루틴의 전환이 치료보다 선행돼야 한다.
🎭 감정적 클라이맥스
치료는 늘 달콤한 약속처럼 보인다.
하지만 약속이 크면, 실망도 크다.
“치료는 끝이 아니라 반복이었다.
내가 멈추지 않으면, 비립종도 멈추지 않는다.”
🔮 다음 화 예고
다음 화에서는 **“흡수의 음모”**를 다룬다.
광고가 던지는 말들, 흡수 강조 기계와 제품이 어떻게 우리의 피부 자정 기능을 빼앗아갔는지,
그리고 내가 그 믿음 속에서 어떤 함정에 빠졌는지 풀어내려 한다.
📚 참고자료
- 국내
- 대한피부과학회 진료지침 요약서, www.derma.or.kr
-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, “비립종(좁쌀여드름)”
- 김정연 외, “양측 귓바퀴에 발생한 다발성 비립종 1예”, 대한피부과학회지, 2004
- 해외
- Avila, P. P. G., Mendez, M. D. Milia. StatPearls, 2023
- Mayo Clinic. Laser Resurfacing – Risks and Side Effects
- Voth, H., et al. “Periocular milia en plaque successfully treated by Er:YAG laser.” PubMed
- Medscape/eMedicine. Milia – Clinical Presentation, Causes
👉 해외 임상 자료가 중심이지만, 국내 병원과 학회에서도 비슷한 보고와 설명이 있습니다.
🐾 조용히 부자로 살기의 한마디
당신과 나누는 이 조용한 대화가
어느 날, 부가 되는 이야기로 남기를 바라며.
구독은 조용한 응원의 표현입니다.
'꾸준히 부자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🧬3, 흡수의 시대, 기계가 피부를 먹는다 – 초음파, 부스터, 그리고 자정 기능의 파괴 (0) | 2025.09.27 |
---|---|
《나는 내 손으로 비립종을 만든다》 — 세안이라는 이름의 역설 (1) | 2025.09.23 |
피부 좋아졌다면, 이제 유지가 핵심 — 6편 (0) | 2025.09.06 |
🧴 5편 —화장품의 역사와 소비문화의 함정 (1) | 2025.09.04 |
《쉬운 돈에는 이유가 있다 – 문자로 다가오는 피싱의 기술》 (11) | 2025.09.02 |